•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일본 수출규제 기술 국산화?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 필요”

[기자의눈] 일본 수출규제 기술 국산화?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 필요”

기사승인 2019. 09. 19.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문누리 기자
“아베가 (아이로니컬하게도) 우리기술 국산화에 기여해주는 셈이다. 현재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를 넘어 수출금지까지 해준다면 우린 국내 대기업들과 손잡고 국산화 시기를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김진백 카이스트 교수는 지난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9 화이트리스트 배제 대응 기술을 중심으로 한 KAIST 핵심 기술이전 설명회’에서 고해상도 포토레지스트 기술을 설명하면서 이 같은 역설적 견해를 밝혔다. 김 교수의 말에 청중들 사이에선 웃음이 터져 나왔다. 김 교수는 농반진반 이런 견해를 여러 번 밝히며 연구단체와 기업 간 국산화 협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설명회장은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안보상 수출심사 우대국)에서 배제한 뒤 관련 소재·기술을 대체할 방법을 모색하는 기업체 관계자들로 가득 찼다. 특히 한국이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전략물자수출입고시’를 시행하기 하루 전이어서 1부 인공지능(AI)·소재부품 기술에 이어 2부 화이트리스트 배제 대응 기술 세션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며 발표를 경청했다. 하지만 정부 관계자는 기술보증기금의 안경찬 대전기술융합센터 부지점장과 장영규 충청지역본부장 외엔 참석하지 않아 대조를 이뤘다.

김상율 카이스트 교수는 “국산 투명 폴리이미드가 상업화에 성공하면 우리 기업들은 현재뿐 아니라 10~20년 뒤에도 디스플레이 시장 선두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국산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수요 기업들과의 소통을 촉진하는 등 적극적인 도움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투명 폴리이미드를 개발한 김상율 교수는 해당 기술이 내열성과 낮은 열팽창률을 갖는 동시에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정에도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이라 기업체 연결을 통해 양산 및 디스플레이업체 공정 적용 확인만 잘 진행된다면 상용화를 하루 빨리 현실화할 수 있다면서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디스플레이 서치에 따르면 투명 폴리이미드 시장은 세계적으로 연 평균 48%의 급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로 제동을 건 소재·기술이 상당 부분 미래 산업과 연결되는 만큼 정부도 이 같은 국산화 노력에 다각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도움을 줘야 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