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2022년까지 간편식품 등 5대 식품산업 17조 규모로 키운다

2022년까지 간편식품 등 5대 식품산업 17조 규모로 키운다

기사승인 2019. 12. 04. 10: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가 간편식품 등 5대 식품분야를 2022년까지 17조원 규모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수립,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4일 ‘제5차 혁신성장정략회의 겸 제2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5대 유망식품 집중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제고대책’을 발표했다.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최근 식품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반영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를 발굴·육성하겠다”면서 “혁신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식품산업 전체 활력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구구조, 소비, 유통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성장 가능성이 크고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5대 유망분야를 선정했다. 메디푸드, 고령친화식품, 대체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특수 식품 △기능성 식품 △간편식품 △친환경 식품 △수출 식품이다.

우선 세계 메디푸드 시장이 연평균 6.9% 성장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재가(在家)식 등 관련 식품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제품개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질환 맞춤형 시장 형성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특수의료용도식품을 독립된 식품군으로 상향하고, 식단제품에 질환명 표시가 가능하도록 ‘식사관리용 식단제품’ 유형을 신설해 기준과 규격을 마련하기로 했다.

고령친화식품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진흥법’ 대상 제품에 식품을 추가하고, ‘고령화 우수식품’ 지정, KS 인증제 시행 등으로 소비자 인지도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대체식품 산업 육성 차원에서 대체식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기업의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대상에 대체단백질 기술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22년까지 대체식품에 관한 표시·규격 등 관련 기준을 마련하고, 안전관리 절차 등 관리방안도 도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입산이 선점하고 있는 펫푸드 시장에서 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기로 했다.

내년까지 양축용 사료와 분리해 펫푸드의 독자적 원료·가공·표시기준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가칭)펫푸드 관리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민간 품질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유기인증 확대, 기능성 표시제 도입 검토 등 소비자 정보 제공도 강화한다.

정부는 기능성 표시제 도입, 맞춤형 건기식 판매 허용 등 규제개선을 통해 기능성식품 시장의 외연을 확대하고 신사업 창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과학적으로 기능성이 증명될 경우 일반식품도 해당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성 표시제를 도입하고, 안전성과 기능성이 입증된 의약품 원료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 가능하도록 관련 규제도 개선할 계획이다.

건강기능식품의 소분·혼합 포장을 허용하고, 기능성분·제품 추천 서비스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한 대형마트 등에서 건기식 판매를 자유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간편식 고품질화 기반기술인 급속 냉·해동 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세제 지원을 검토 중이며, 프리미엄 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원하기로 했다.

생산자단체와 기업간 계약재배 활성화, 지역농특산물의 반가공·소재화 지원 등 국산 원료농산물 공급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무농약 가공식품 인증’ 시행, ‘유기’ 표시기준 완화 등 친환경 가공식품 시장 확대 정책도 추진한다. 친환경 식품 생산 집적환 단지 및 가공·판매·체험이 동시에 제공되는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단지’를 조성해 생산 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

정부는 성장 잠재력이 큰 신남방·신북방 지역에 대한 시장개척을 지원하고, 할랄시장 및 UN 조달시장 등으로 신규 시장 진출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신남방 시장의 경우 현지 유통환경을 감안해 콜드체인 및 물류센터 확충을 지원하고, 러시아·몽골 등 신북방시장 맟춤형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시장개척에 나선다.

최대 할랄시장 인도네시아와 할랄 상호 인증을 추진하고, UN 조달시장 진출도 모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대책으로 5대 분야 국내식품산업 규모가 2022년 16조9600억원, 2030년 24조8500억원까지 확대되고, 일자리도 2022년 7만4700개, 2030년 11만5800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재욱 차관은 “식품산업은 성장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이라며 “정책효과 농어업, 중소기업 등 전후방 연관산업 전반으로 파급돼 식품산업 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