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로나19 여파에도 1분기 법인창업·기술창업 증가세 유지

코로나19 여파에도 1분기 법인창업·기술창업 증가세 유지

기사승인 2020. 05. 27.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올 1분기 신규 창업 46만2991개… 작년 1분기에 비해 43.9% ↑
기술창업의 경우 지식기반 서비스업 중심으로 소폭 증가
중기부, '2020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 발표
1
제공=중기부
올해 1분기 신규 창업은 46만2991개로 2019년 1분기에 비해 43.9%(14만1243개) 늘어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을 발표했다.

중기부가 발표한 올해 1분기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연초 부동산업 창업이 급증하면서 전체 창업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3월 들어 증가세가 둔화됐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전년 동기대비 0.2% 증가했다. 개인·법인 창업은 모두 크게 증가했으며 부동산업을 제외하면 개인창업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반면 비교적 고용 창출 효과가 큰 법인창업은 15.7% 증가했다.

기술창업은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0.3%(198개) 증가한 5만8892개를 기록하며 2016년 통계 발표 이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2020년 1분기 새롭게 만들어진 창업기업은 부동산업(20만5122개·44.3%), 도·소매업(9만1166개·19.7%), 숙박·음식점업(4만586개· 8.8%), 건설업(1만7777개·3.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업은 올해 1분기 전체 창업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기술창업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업종별로도 차이를 나타내며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 비대면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등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통신업(9.4%)의 성장세는 지난해보다 더 커졌으며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 등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0.2%) 창업도 크게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업황 부진에 코로나19 우려 등이 더해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11.0% 감소했고 교육서비스업과 창작·예술·여가서비스업도 각각 10.4%, 9.0% 감소했다. 올 1~2월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 후 3월 10.1% 감소해 비슷한 감소세를 이어갔다. 교육서비스업과 창작·예술·여가서비스업은 1~2월 각각 3.2%, 5.6% 감소 후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3월에는 23.8%, 15.9% 감소해 1~2월에 비해 감소폭이 확대됐다.

그 외의 서비스업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업종별로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도·소매업은 비대면 온라인 거래 등 소매업을 중심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5.9% 늘었으나 대면·집합 업종인 숙박·음식점업과 개인 서비스업(미용실·세탁소·수리점 등) 창업은 같은 기간 각각 5.8%, 6.7% 감소했다. 1~2월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으나 3월 18.4% 감소했으며, 개인서비스업도 1~2월 0.6% 증가한 후 3월 18.3%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부동산업의 영향으로 40대 이상을 중심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지난해 1분기 대비 증가했으나 부동산업 외 신규 창업은 청년층(39세 이하)과 60세 이상에서 증가했다. 특히 기술창업은 30세 미만(8.9%), 60세 이상(12.9%)에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청년층(39세 이하) 창업은 도·소매업(10.2%), 사업시설관리 서비스업(21.0%),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3.6%), 정보통신업(8.3%) 등이 증가했다. 60세 이상은 부동산업(365.1%) 외에도 도·소매업(8.0%),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40.5%), 정보통신업(29.3%) 등에서 증가해 서비스업 위주의 증가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세종(90.5%), 인천(64.1%), 대전(60.1%), 서울(55.8%) 등 모든 지역에서 급증했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에는 세종(8.5%), 경기(6.1%), 인천(4.9%) 등에서는 증가했으나 경북(10.2%), 대구(8.3%), 울산(7.3%) 등에서는 감소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