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바이든 시대…반도체·자동차·배터리 산업계 셈법은

바이든 시대…반도체·자동차·배터리 산업계 셈법은

기사승인 2020. 11. 08. 16:3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basic_2020
조 바이든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미국 정치와 업황에 큰 영향을 받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화학 등 한국 기업의 이해득실에 이목이 쏠린다.

기업들은 명과 암을 동시에 안겨준 화웨이 제제가 바이든 집권 후에도 계속 이어질지, 차기 미 행정부의 환경·노동 정책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을 두고 셈법이 분주하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대중국 압박 정책이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당장 기류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환경·노동 문제에 민감한 바이든 행정부가 수소차 같은 친환경 제품을 확대하는 동시에 현지 공장 환경 규제 등은 강화해 우리 기업들에 호재와 부담을 동시에 안겨 줄 것으로 내다봤다.

◇美 화웨이 제제 지속…반도체 등 ’미국 내 제조‘ 방향 예의주시
8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화웨이 제제 기류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 제재 핵심 명분이 미국의 안보·기술패권 유지이기 때문에 바이든 당선자 역시 이를 철회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이에 따라 국내 기업이 당장 체감할 수 있는 기류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난 9월 15일 강화된 미국의 화웨이 제제로 국내기업은 명과 암을 모두 맛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화웨이가 미국 제제 발효 전 긴급 재고 축적에 나선 영향으로 메모리 가격 하락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3분기 호실적을 내놨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2분기 화웨이에 내줬던 스마트폰 세계 1위 자리를 3분기 다시 찾으며 화웨이 공백 수혜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4분기의 경우 화웨이 공백이 본격화 되면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화웨이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11%(약 3조원) 가량을 차지하는 SK하이닉스는 4분기 실적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와 G5와 같은 첨단기술 분야 득실에 대한 시각이 엇갈린다. 바이든은 반도체, 5G·6G, 양자컴퓨터, 신소재 등에 3000억 달러(약 336조)를 투입해 첨단 산업의 미국 중심 공급망 강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는데, 이 때 내세운 ‘미국인에 의한 미국 내 제조’ 강령이 어떤 방향으로 적용될지 불확실하다.

미국이 신기술 육성에 국내 기업과의 기술 교류, 협력을 활용한다면 긍정적이다. 특히 외국 반도체 기업이라 하더라도 미국 내 공장을 지으면 최대 40%의 투자세액 공제 혜택을 준다는 내용의 ‘칩스’(CHIPS·Creating Helpful Incentives to Produce Semiconductors) 법안이 통과되면, 바이든의 첨단산업 육성과 한국 반도체 기업의 현지 투자 등이 맞물려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의 미국 텍사스 오스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장 ‘S2’의 증설 가능성이 거론되는 이유도 이와 맞닿아 있다.

반면 미국 기업 육성과 보호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오히려 경쟁 관계에 있는 국내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전기차 배터리 호재… 환경·노동정책은 부담
자동차, 배터리 업계는 바이든의 친환경 정책의 수혜와 부담이 상존한다. 수소차·전기차 등 친환경차 확대는 호재지만, 환경 규제 강화로 비용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친환경차 확대를 꾀하고 있는 현대차뿐 아니라 미국내 GM과 포드,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조달을 위해 현지에 배터리 공장을 보유한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등도 수혜가 기대된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법인세와 최저임금 인상, 노동자 보호법 강화 등을 내세우고 있어 현지 공장 운영 비용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 기업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철강의 경우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경쟁력과 이익 제고를 최고 가치로 삼으며 관세와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등 비관세장벽을 유지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 외에 바이든 후보가 풍력·태양광 등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한화솔루션, 삼성물산 등에도 기회가 생길 수 있다.

산업연구원은 “우리 기업들은 바이든이 조만간 발표할 초기 산업정책의 우선순위를 면밀히 파악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견제는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측 대응조치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대응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