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문 대통령 “남북간 소통하고 한미간 공감대 형성할 것”

문 대통령 “남북간 소통하고 한미간 공감대 형성할 것”

기사승인 2021. 01. 18. 17:5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북한에 대화와 소통 강조, 비대면 회담 다시 제의
미국엔 "가치 공유하는 동맹"
일본과 외교적 노력 지속 의지
질문에 답하는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남북 간에는 ‘소통’, 한·미 간에는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회견에서 남북 관계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쪽 답방은 남북 간에 합의된 사항”이라며 “언젠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문 대통령은 “꼭 답방이 먼저여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며 “저는 언제 어디서든 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고 그렇게 만남이 지속되고 신뢰가 쌓이면 언젠가 답방도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평화에 대한 의지, 대화에 대한 의지, 비핵화에 대한 의지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 등을 통해 크게 발전시킬 수 있었는데 그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그 단계에서 멈춘 것이 아쉽다”고 토로했다. 임기 내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문 대통령은 “올해 집권 5년차이기 때문에 제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며 “정상회담은 남북관계 발전이라는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 서두를 수는 없지만 제게 남은 마지막 시간 최선을 다하고 싶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미 대화와 관련해 “바이든 당선자는 과거 상원에서 외교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했고 현재 백악관의 외교안보 라인을 보면 한반도 문제에 정통한 분들이 많다”며 “대화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에 찬성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은 충분히 북한 문제가 후순위가 아닌 우선순위에서 논의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오는 3월 예정된 연례적인 한·미 연합 훈련에 대해 문 대통령은 “한·미 연합 훈련도 크게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이라는 프로세스의 틀에서 논의될 수 있다”며 “한·미 훈련에 대해 북한과 군사공동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이 훈련은 연례적으로 열리는 방어목적의 훈련일 뿐”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새 미 행정부와의 정책적 측면에서의 ‘공감대’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새 행정부는 우리 정부와 여러모로 가치 지향이나 정책 기조가 유사한 점이 있고 코드가 같다고 느낀다”며 “따라서 한·미 관계에 있어서 더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와 백악관) 안보라인이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도록 해야 하고 북한 문제가 미국 외교정책에서 후순위로 밀리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관련해 “올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고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조기방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방한은 지난해 추진했는데 코로나19 상황이 나빠져 성사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나라로서는 최대의 교역 국가이고 한반도 평화 전진을 위해 협력해야 할 관계”라고 규정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두 나라가 외교적 해결을 위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고 있다”며 “과거사는 과거사고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할 것은 그것대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모든 문제를 연계시켜서 해결되기 전에 다른 분야의 협력을 멈춘다든지 그런 태도는 현명하지 못하다”고 밝혔다. 최근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법부의 판결을 존중하지만 그 전에 두 나라가 외교적 노력으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문 대통령은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원고가 동의하는 방법을 두 나라가 설득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