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정부, 증권·보험사 외화조달 위험성 매월 점검한다

정부, 증권·보험사 외화조달 위험성 매월 점검한다

기사승인 2021. 01. 20. 18: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외화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 비은행권으로 확대
금융지주회사가 유사시 자회사 지원 방안 마련토록
정부가 월 1회씩 증권사·보험사의 외화자금 조달 상황을 점검한다. 기획재정부·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외화 유동성 관리제도 및 공급체계 개선안을 발표했다.

먼저 비은행권 금융회사별 외화 조달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모니터링 지표 3종을 도입한다. 외화자금 조달·소요 지표를 통해선 앞으로 30일 동안의 외화자금 조달 계획을 월 단위로 들여다보게 된다. 점검 시 자산가치 급락 및 외화 차입 조기 상환 요구 등 우발적인 상황에서 예상되는 수요도 포함해 반영한다.

또 외화자산·부채 갭 지표를 도입, 전체 외화자산 대비 외화 순자산(자산-부채) 비율을 점검한다. 이를 통해 매월 외화자금시장 조달 비중을 모니터링한다.

외화 조달·운용 만기 지표의 경우 외화 조달 및 만기 현황을 들여다보며 자금 조달 만기 및 운용 만기 간 불일치(미스매치) 위험을 들여다본다.

모니터링 지표는 외화자산 및 부채 규모가 큰 증권·보험사에 우선 도입한 뒤 앞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외화자금시장(스왑시장)에서 증권사 등 수요가 이상 급증하는 등 리스크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다.

외화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잠재적 취약성 평가) 적용 대상도 증권·보험사 등으로 확대, 매 분기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에 증권사는 파생상품 기초자산인 글로벌 증시가 20∼40%까지 급락하는 상황을 가정해 점검한다. 아울러 외환 건전성 관련 점검 사항을 확대하는 동시에 점검 주기도 분기 단위에서 월 단위로 줄인다.

이 같은 점검 확대 방안은 지난해 3월 전세계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글로벌 달러 선호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외환·외화자금시장도 2008년 위기 수준의 극심한 불안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특히 증권사들이 대규모 파생결합증권 외화증거금 납입수요로 외화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등 비은행권 금융회사들은 외환리스크 관리에 취약성을 노출했다는 설명이다.

비은행권 금융회사는 달러를 직접 사지 않고 스왑시장에서 달러를 조달, 해외투자를 진행한다. 이때 달러 조달 상황이 악화할 경우 시장이 연쇄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정부와 관계기관은 비은행권 외환부문 취약성완화에 초점을 두고 금융회사 전반의 외화유동성 관리제도를 보완하고 유동성 공급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예컨대 지난해 3월 국내 증권사 중심으로 단기 달러 수요가 급증, 기업어음(CP) 금리가 급격히 오르는 등 시장 불안이 촉발된 전례가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내 증권사들이 발행한 해외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지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대규모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금융회사 위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그룹 단위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금융지주회사에 그룹 전체 단위 외화유동성 규제 비율 산출을 추진, 유사시 금융지주회사가 그룹 차원의 자회사 지원 방안을 마련토록 유도한다.

또 정부는 비은행권 금융회사가 외화 유동성 등에 대한 자체 위험관리 기준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외화 유동성 비율 및 외화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등 비은행권 외화 건전성 규제 정비에도 나선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해외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 규모의 20% 이상 외화 유동자산으로 의무 보유토록 한다. 위기 시 한국증권금융 등을 통해 외화 유동성을 증권사에 공급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이밖에 기재부 차관이 주재하는 외환건전성협의회를 신설, 분기에 1번 개최해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