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우리가 못 본 아시아]‘하나의 중국’에 희생된 위구르 下

[우리가 못 본 아시아]‘하나의 중국’에 희생된 위구르 下

기사승인 2021. 01. 24. 15:5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우리가 못본 아시아
<중국에는 한족과 함께 55개의 소수민족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나의 중국’을 내세우며 이들을 통합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에 많은 소수민족들의 전통문화와 정체성이 지워지고 있습니다.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중심으로 한 1100만 명의 위구르족은 중국에서 가장 탄압받는 민족 가운데 하나입니다. 자신의 고향에서 밀려나고 있는 위구르족을 아시아투데이가 <우리가 못 본 아시아> 기획을 통해 조명합니다>

China US Explaining Genocide Charge <YONHAP NO-4129> (AP)
지난해 10월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앞에 위구르 미국 협회 회원들이 ‘위구르 강제노역 방지법안’ 지지 시위에서 위구르족 해방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하원을 통과한 위구르 강제노역 방지법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사진=AP 연합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선미리 기자 = 지난 2019년 12월 22일 홍콩 도심에선 “위구르족을 해방하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고 위구르족을 상징하는 깃발이 나부꼈다. 이날 홍콩에서 처음으로 열린 위구르족 독립지지 시위에는 홍콩시민 1000여 명이 동참했다. 같은 해 6월 홍콩에서 벌어진 대규모 민주화시위의 연결선상으로, 홍콩시민들은 중국 공산당의 탄압에 저항하는 이들과 연대해 나가겠다고 외쳤다. 한 시민은 신장에서 벌어지는 일이 홍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리고 이듬해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면서 국제사회는 중국에 대한 제재를 쏟아내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은 위구르족 탄압에 관여한 중국관리와 기업에 제재를 부과하는 법을 잇따라 통과시켰다. 임기 동안 ‘중국 때리기’에 열중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해 ‘2020년 위구르 인권정책법’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민족 탄압에 관여한 중국 당국자들을 제재할 수 있다. 언론은 위구르 인권정책법이 소수민족 인권 탄압과 관련해 중국을 처벌하려는 각국의 시도 가운데 가장 중대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또 하원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제한하는 내용의 ‘위구르 강제노역 방지법안’을 찬성 406표, 반대 3표의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켰다. 앞서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위구르족들이 중국 전역 공장으로 이송돼 강제노역에 동원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장과 연계된 유명기업들이 애플·나이키·Gap 등을 포함해 80곳 이상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가 공개되자 글로벌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애플과 나이키는 강제노동이 의심되는 협력업체와 거래를 중단하고 근로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부 협력업체와 관계를 끊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중국에 실질적인 압박을 가하기 위해선 기업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위구르족 강제노역 문제 해결에는 특히 의류업계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신장자치구에서는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 수십만 명이 면화 수확에 강제 동원되고 있다. 2019년 기준 신장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는 세계 면화 생산량의 20%, 중국 면화 생산량의 85%를 차지했다.

이에 스웨덴의 세계적 패션브랜드 H&M은 강제노역 의혹을 받은 화푸 패션과 사업 관계를 단절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 정부는 신장산 면 제품 수입을 전면 금지했고 영국도 신장 지역에서 강제 노동으로 제조된 중국제품 수입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는 기업에는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세계가 한 목소리로 위구르족 탄압 중단을 촉구하고 있지만 중국은 이를 부정하며 되려 내정간섭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이 강제노동 문제를 핑계 삼아 중국 기업에 제재를 가했다고 비판했고, 주미 중국대사관은 위구르 여성들에게 강제 불임수술을 한적이 없으며 오히려 성평등을 향상시켰다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가 계정을 정지당했다.

트럼프 시대가 저물고 조 바이든이 미국의 제46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중국은 미중 관계개선에 희망을 걸었지만 바이든 행정부도 대중 강경노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선거기간 중에도 위구르족 탄압을 집단학살이라고 묘사하며 규탄했다. 또 소수민족 인권 탄압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감시카메라 업체 하이크비전의 로비스트인 바버라 박서 전 민주당 상원의원의 기부금을 돌려주며 선을 그었다. 하이크비전은 카메라를 이용해 강제수용소의 위구르족을 감시하는 데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블랙리스트에 올린 기업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 전날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은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은 집단학살”이라고 규정하며 마지막까지 대중 공세를 이어갔다. 이에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지명자도 위구르족에 대한 중국 정부의 만행은 집단학살에 해당한다는 데 동의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