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식품산업 경기 악화…“가격 인상 뇌관 건드렸다”

식품산업 경기 악화…“가격 인상 뇌관 건드렸다”

기사승인 2023. 02. 07. 08: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원재료·물류·인건비 상승 이유로
식음료 업계 가격 올려
1분기 경기전망 지수 91.9…8.2p↓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A씨는 얼마전 가족들과 먹을 저녁 찬거리를 위해 마트에 들렀다가 빈손으로 나왔다. A씨는 결국 동네 반찬 가게에서 4팩에 1만원짜리 반찬 몇가지를 골라 장바구니에 담았다. A씨는 "직접 만드는 것보다 차라리 사먹는게 저렴할 정도"라고 말했다.

가정 주부인 B씨도 "식비가 배로 올라서 최대한 필요한 것만 사려고 하는데 지금은 더 인상되서 마트 가는게 무섭다. 마트에서 할인상품이나 날짜가 임박한 제품만 사는데도 눈치가 보일 정도로 선뜻 잡을 수가 없다"며 "마트나 시장에서 장볼 때 안 오른 걸 찾는게 더 쉬울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배달음식도 올라서 밀키트로 조리해 먹었는데 그것마저도 올랐다"고 토로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여파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식품산업 경기가 악화하고 있다. 실제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도 위축돼 올해 식품산업 전망에도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 졌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식품산업경기동향조사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식품산업 경기 현황지수는 87.4로 전 분기 대비 7.3포인트 (p) 하락했다.

식품산업 경기 현황지수는 지난해 1분기 83.9에서 2분기 89.8, 3분기 94.7로 상승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4분기 하락세로 돌아섰다. aT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원자재가격을 반영한 제품 출고가격 인상으로 업계 매출이 증가해 2·3분기 경기지수가 상승했으나 지속적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해 4분기에는 경기지수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식품 기업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초부터 원재룟값과 물류비·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롯데제과는 이달부터 빙과류와 과자류 등의 제품가격을 순차적으로 올리고 일부 냉동제품의 편의점 판매 가격도 인상한다. 가격 인상률은 5~11% 수준이다. 해태제과도 합작사에서 생산하는 포키, 구운양파, 자가비 등 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4.8% 인상한다. 파리바게뜨도 95개 품목 가격을 평균 6.6% 올리고 농심켈로그는 콘푸로스트, 첵스초코 등 시리얼 제품 가격을 10% 안팎으로 조정한다.

LG생활건강도 코카콜라 350㎖ 캔 제품의 편의점 가격을 1900원에서 2000원으로 5.3% 올렸으며 롯데칠성음료는 펩시콜라의 355㎖ 캔 제품 가격을 1700원에서 1900원으로 11.8% 인상했다. 삼다수 제조업체인 제주개발공사도 삼다수의 가격을 평균 9.8% 조정했다.

주류 업계도 오는 4월부터 맥주·막걸리 등 주세 인상에 따라 가격 줄인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지난해 업계는 주세가 2.4% 오르자 맥주 출고가를 최대 8%까지 올렸다. 한 주류 업계 관계자는 "인상 요인은 매년 존재했었고 올해도 인상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에 가격이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잇따른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 또한 위축되면서 올해 식품산업 전망에도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실제 올해 1분기 식품산업 경기 전망지수는 91.1로 전 분기 대비 8.2p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 96.9에서 3분기 98.1, 4분기 99.3으로 상승세를 보이다가 하락세로 전환했다.

일각에서는 물가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부담을 소비자만 떠안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정부의 관련 정책을 점검·강화하는 한편 기업들도 정책 효과에 대한 소비자가 인하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모든 인상 요인을 소비자가 인상으로 결정해 자칫 경기 침체로 이어질까 우려스럽다"며 "기업의 원가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지난해부터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기업들은 관련 정책으로 경감된 비용을 소비자가에 얼마나 적용했는지에 대해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역시 정책의 효과 측면을 적극적으로 점검, 구체적인 정책 효과를 확인해야 한다"며 "기업들은 가격 인하 요인이 나타났을 때 가격 인상시와 마찬가지로 빠른 시일 내에 이를 소비자가에 반영해야 한다"고 전했다.
basic_2021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