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과 ‘신협력관계’ 구축한 尹대통령...고위당정 “방일 성과 뒷받침”

일본과 ‘신협력관계’ 구축한 尹대통령...고위당정 “방일 성과 뒷받침”

기사승인 2023. 03. 19. 19:2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양국 여론 일치 분위기 형성…기시다 호응하면 국제정세 큰 변화"
'신협력관계' 구축…"반도체·배터리·전기차 중심 협력관계 확대"
브리핑하는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일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대통령실은 19일 한·일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 "커다란 성공"이라고 자평을 내놨다. 지난 4년 최악의 위기를 맞았던 양국 관계가 안보와 경제 분야를 주축으로 새 파트너십을 약속한 만큼 기대감도 높아 보인다.

당과 정부도 본격적으로 방일 성과 뒷받침을 위한 실무 논의에 착수하기로 하는 등 이번에 약속한 '신경제협력 구상' 등의 양국간 공조에 조만간 시동이 걸릴 전망이다.

이도운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외교라는 게 상대방의 마음을 열고 양자 또는 다자 관계에서 판을 바꾸는 것이라면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외교는 커다란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한·일관계 정상화를 위한 '결단'으로 인해 한국이 국제관계에서도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게 된 점을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일본 방문은 단 이틀이었지만 한국 정부가 한·일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가 됐고 국제관계에서도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한·일 양자관계에서 보기 드물게 양국 여론이 일치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호응하면 한반도와 국제 정세에도 큰 변화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 한·미·일이 동북아를 넘어서 국제사회에서 안보, 경제 변화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재까진 윤 대통령이 받는 관심이 크지만 후속조치로 기시다 총리도 주목받길 기대한다"고도 언급했다.

이 대변인은 구체적인 '호응'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언급하진 않았다. 그러나 대통령실이 대화 파트너인 기시다 총리에게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양국의 신속한 후속 조치 협의 요청한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윤 대통령의 이번 방일은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초석을 닦은 것은 물론, 양국 간 '신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지평을 열어젖혔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기술경쟁, 공급망 교란 등 글로벌 경제안보 도전이 산적한 상황에서, 양국이 미래 첨단 신산업 분야에서 공급망·기술 협력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어렵게 만들어낸 동반자 관계 유지도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특히 윤 대통령은 그간 수차례의 국제무대 외교전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꼽았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해법으로 국가 간 연대를 강조했다. 이번 일본과의 관계 개선 및 신기술 협력 역시 글로벌 무대에서 양국의 생존전략을 제시한 셈이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우주과학기술, 첨단 바이오산업 등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이 역량을 합치면 강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양국의 제3국 공동 진출 가능성도 거론하며 양국이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점을 꾸준히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은 정상회담 후속조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국민의힘과 정부는 정상회담 뒤 첫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한국의 '화이트리스트' 법령 개정을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양국 정상은 상호간 '화이트리스트' 원상 복귀에 합의한 바 있다.

강민국 수석 대변인은 고위 당정협의 뒤 국회 브리핑을 통해 "당정은 12년 만의 한일정상 간 단독회담이 미래 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의 획기적 계기가 됐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대통령 방일 성과를 뒷받침하는 데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도 지소미아 완전 정상화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간 경제안보대화 신설, 한일 차관 전략대화 재개를 위한 상호 의견 조율 등 실무 절차에 즉각 착수하기로 하고 일정 조율에 돌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