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의 정치적 교류 측면의 획기적 진전이라면?
“향후 외교장관 회의 정례화를 비롯 고위 정치 레벨에서의 교류 확대는 물론이고 두 나라 산업장관을 대표로 하는 한·이란 경제공동위원회 활성화를 통해 경제협력 가속화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 합의 이후 한국은 이란 시장의 어떤 분야를 경제적 목표로 고려하고 있나?
“이란과 교역 규모의 복원은 물론 교역 품목을 다변화하고 이란의 경제 재건에 필요한 인프라, 산업기반,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성장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를 희망한다. 앞으로 이란이 철도, 도로, 항만, 발전·전력망, 수자원 등 인프라 개선을 집중 추진할 걸로 아는데 그동안 한국이 이란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기술과 신뢰성을 입증해 왔기 때문에 협력 확대가 유망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 현재 한국은 이란의 원유를 수입하고 이란은 한국의 산업용 원부자재를 주로 수입하는 교역구조인데 앞으로 두 나라 간 교역 품목을 다변화시킬 여지도 크다. 이란의 높은 교육열과 과학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정보통신기술(ICT), 보건의료, 에너지 신산업 등 고부가가치 신산업 분야에서도 상호 협력의 시너지가 클 것이다.”
-이란 석유개발 프로젝트를 더 매력적인 투자 대상으로 여기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이란이 경제재건을 위해 석유·가스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관련 운송 인프라, 정유 플랜트, 가스복합 발전 등 에너지 인프라 전반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걸로 안다. 한국 기업들은 지난 30년 동안 다양한 에너지 인프라 운영 기술과 경험을 축적해 오고 있는데 이란의 자원개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주어진 프로젝트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어떤 역경에도 기한 내 완수하는 걸로 이란에서도 인정받고 있는데 앞으로 이러한 신뢰를 토대로 자원과 에너지 인프라 개발 관련 제반 분야에서 좋은 협력이 이뤄질 수 있을 걸로 기대한다.”
-이번 방문 중에 민간분야 대표들과 협의 계획도 마련돼 있나?
“전통적 경협 분야인 인프라·에너지 이외에 미래지향적 성장동력 분야인 정보통신(IT), 보건, 환경 등의 영역에서도 좋은 사업들이 논의 되기를 희망한다.”
-이란 핵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정치적 입장은?
“우리나라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큰 위협을 받고 있는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북한의 핵개발을 우리 정부는 용납할 수 없다. 이것은 한반도 뿐 아니라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일이고 북한 주민들이 김정은 정권의 유지를 위해 핵개발의 희생양이 되는 것도 막아야 한다. 우리는 이란 핵협상 타결이 북핵 문제 해결에 주는 함의에 대해 관심을 갖고 보고 있으며 북한이 하루 속히 진정성을 갖고 협상 과정에 복귀하기를 기대한다.”
-이란 핵 해법을 어느 정도까지 북한 핵문제와 같이 보다 심각한 문제들로 확대해서 적용할 수 있나? 북한이 불법으로 핵무기 생산에 들어섰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핵 문제 해결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보나?
“북한의 경우는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했고 여러 차례 핵실험을 실시했으며 핵 보유를 헌법에 명기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이란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따라서 이란의 핵 해법을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우리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은 물론 실제 핵사용 위협까지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핵 개발에 대한 북한의 전략적 셈법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보고 있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조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깨닫도록 만들 것이다. 북한이 위협이나 도발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협상을 통해 핵 문제 해결 과정에 나올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해 나가고 있다. 북한이 핵 개발이 아닌 국제사회와의 협력 만이 자신들이 원하는 안정과 번영도 가능하다는 점을 하루 속히 깨닫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이란과도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