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尹 “‘홍장원 메모’는 탄핵·내란 공작…통화를 체포지시로 연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0010011183

글자크기

닫기

임상혁 기자

승인 : 2025. 02. 20. 20:08

"홍장원-여인형 육군사관학교 선후배 사이"
"간첩사건 관련 '방첩사 도와달라' 부탁한 것"
김건희-국정원장 문자 의혹엔…"휴대폰 바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 출석<YONHAP NO-4895>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국정원) 1차장이 작성한 정치인 등 체포 명단에 대해 "저와 통화한 것을 '대통령의 체포시지'와 연결해 내란·탄핵으로 공작했다"며 체포 지시가 없었다고 20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당시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에 가 있다고 생각해, 직무대리인 홍 전 차장과 통화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과 여 전 사령관이 육군사관학교 선후배다. 예전부터 간첩사건에 대해 국정원이 방첩사를 좀 지원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것은 그런 이야기를 하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에 비상계엄 관련해 요청할 일도 없고, 비상계엄 관련 정보 사항을 파악하려 했다면 조 원장에게 전화했을 것"이라며 "국정원장을 건너뛰고 1차장에게 전화한다는 것은 공직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간첩을 많이 잡기 위해 방첩사도 좀 지원해달라는 이야기를, 목적어 없는 체포 지시가 됐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12월 4일로 기억하는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주요 정치인 등의 위치확인 및 체포를 부탁했다는 것을 기사를 보고 알았다"며 "경찰에서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을 알지 않으면 어렵다'고 거절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도 그 부분은 불필요했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국정원 1차장 메모'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경찰이 어렵다고 하니까, 여 전 사령권이 미행 등 정보활동이 가능한 국정원에 부탁한 것"이라며 "뭘 잘 모르는 사람의 부탁을 받고 '미친 X 말도 안 되는 소리 하네'라고 생각해 메모를 갖고 있다가, 해임 이후 '대통령 체포 지시'라고 엮어낸 것이 '홍장원 메모'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가 조 원장과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저와 제 처는 지난해 11월 소통방식 개선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휴대폰을 바꿨다"며 "제 아내가 조 원장의 안보실장 시절 번호를 갖고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휴대폰을 바꿨기 때문에 무슨 내용을 주고받았는지는 사실 궁금하다"고 밝혔다.
임상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