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사건 관련 '방첩사 도와달라' 부탁한 것"
김건희-국정원장 문자 의혹엔…"휴대폰 바꿔"
|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당시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에 가 있다고 생각해, 직무대리인 홍 전 차장과 통화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과 여 전 사령관이 육군사관학교 선후배다. 예전부터 간첩사건에 대해 국정원이 방첩사를 좀 지원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것은 그런 이야기를 하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에 비상계엄 관련해 요청할 일도 없고, 비상계엄 관련 정보 사항을 파악하려 했다면 조 원장에게 전화했을 것"이라며 "국정원장을 건너뛰고 1차장에게 전화한다는 것은 공직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간첩을 많이 잡기 위해 방첩사도 좀 지원해달라는 이야기를, 목적어 없는 체포 지시가 됐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12월 4일로 기억하는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주요 정치인 등의 위치확인 및 체포를 부탁했다는 것을 기사를 보고 알았다"며 "경찰에서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을 알지 않으면 어렵다'고 거절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도 그 부분은 불필요했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국정원 1차장 메모'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경찰이 어렵다고 하니까, 여 전 사령권이 미행 등 정보활동이 가능한 국정원에 부탁한 것"이라며 "뭘 잘 모르는 사람의 부탁을 받고 '미친 X 말도 안 되는 소리 하네'라고 생각해 메모를 갖고 있다가, 해임 이후 '대통령 체포 지시'라고 엮어낸 것이 '홍장원 메모'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가 조 원장과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저와 제 처는 지난해 11월 소통방식 개선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휴대폰을 바꿨다"며 "제 아내가 조 원장의 안보실장 시절 번호를 갖고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휴대폰을 바꿨기 때문에 무슨 내용을 주고받았는지는 사실 궁금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