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北, 푸틴 방북 확인…김정은 초청에 18~19일 방문 (종합)

北, 푸틴 방북 확인…김정은 초청에 18~19일 방문 (종합)

기사승인 2024. 06. 17. 20:2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240614010007245_1718269076_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지난해 9월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한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으로 양국은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담긴 군사협력 파트너십을 맺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과거 북한과 소련의 동맹조약 수준에 근접하는 새 조약으로 동북아 정세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17일 크렘린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방문한다.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러시아와 동시 발표해 푸틴 대통령이 방북 사실을 확인했다. 통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 김정은동지의 초청에 따라 로씨야련방 대통령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가 6월 18일-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방문하게 된다"고 밝혔다.

북·러는 회담을 계기로 24년 전 맺었던 동맹 우호조약보다 한층 강화된 군사협력 파트너십을 맺을 것으로 보인다. 2000년 2월 양국은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조약을 맺었고, 같은 해 7월 방북한 푸틴 대통령은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과 회담 후 이 조약을 토대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북·러 회담 이후 새로운 법률 아래 양국 간 각급 외교채널을 가동, 양자 관계를 다시 정립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해 왔다.

북한은 백화원 영빈과 김일성 광장 등에서 분주히 손님맞이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고 러시아와 북한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하루 앞둔 이날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대통령실과 정부도 양국이 줄곧 언급했던 새 조약이 '자동 군사 개입'이 명시됐던 것에 근접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북·러 간 밀착 강도에 따라 대응 조치를 달리한다는 방침이다.

실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앞두고 우리가 용인할 수 있는 선을 넘지 말아 달라는 일종의 경고성 메시지를 러시아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러시아에 '일정한 선을 넘지 마라'는 경고성 소통도 한 바 있다"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남북 중 어느 쪽이 중요한지 잘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