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우디, 반체제 인사들 귀국 회유 나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718010011267

글자크기

닫기

성유민 기자

승인 : 2019. 07. 18. 17:38

Japan G20 Summit <YONHAP NO-2715> (AP)
지난달 29일, 오사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진행하고 있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AP, 연합
지난 2017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당국은 영향력 있는 성직자, 자유주의 사상가 등 30여명을 체포했다. 140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성직자 살만 알-오다, 논평가 예삼 알자밀도 포함됐다. 왕정 폐지 등을 주장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잠재우고,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순이었다는 것이 대체적 관측이다. 하지만 지난해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으로 기류가 변하고 있다. 사우디 당국이 해외 거주 반체제 인사들의 귀국을 타진하는 등 회유에 나서고 있는 것. 카슈끄지 사건으로 사우디의 이미지가 훼손되고 해외 망명자 급증으로 홍역을 앓게 되면서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접근법을 강경책에서 회유책으로 바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사우디 당국이 해외로 망명한 반체제 인사들에게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설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사우디 출신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살해된 지 9개월 만이다. 2017년부터 미국에 머무르며 사우디 체제를 비판하는 칼럼을 게재해 온 카슈끄지는 터키 주재 사우디 영사관을 방문했다가 왕실의 지시로 피살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사우디 당국은 해외의 반체제 인사들을 접촉해 “왕세자의 개인적인 메시지가 있다”고 전하며 본국으로의 회귀를 결심하면 위해를 가하거나 감옥에 보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왕실 자문기구인 슈라위원회(국정자문회의)는 지난 2016년 사우디 국민 100만명 이상이 영구적으로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며 이같은 현상이 안보 위협이나 사회적 딜레마가 되기 전에 원인을 조사하라고 요청한 바 있다. 최근 사우디 당국이 의뢰한 비공식 연구에 따르면 사우디의 망명 신청자는 2030년까지 5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연구 관계자들은 반체제 인사들을 압박하는 강경책을 쓰는 대신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설득하는 등 회유책을 쓸 것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의 해외 망명자들이 처음부터 많았던 것은 아니다. 1990년대 이후 소수의 이슬람 반체제 인사들이 런던과 워싱턴 등지로 피신했으며, 일부는 비공식적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 간 사우디 내 정치적 활동 및 표현의 자유가 설 자리를 잃게 되자 많은 사람들이 해외에서의 새로운 삶을 추구하게 된 것.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사우디의 망명 신청자는 지난 2012년 195명에서 2017년 815명으로 증가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정부 장학금으로 해외에서 학위를 받은 학생, 남성 중심의 이슬람 사회에서 벗어나기 위한 여성도 포함돼 있다.

사우디는 2016년부터 비전 2030이라는 탈(脫) 석유시대 개혁안을 내놓고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해외 거주 사우디 반체제 인사들을 하나로 묶는 조직은 없다. 하지만 언제든 이들이 단합해 목소리를 낼 가능성은 상존한다. 사우디 당국이 우려하는 것은 반체제 인사들이 유엔(UN)·유럽연합(EU)·미국 의회 등을 대상으로 로비에 나서는 것. 반체제 인사들은 최근 사우디 비판의 중심에 서 있다. 카슈끄지 사건도 이들이 침묵을 지켰다면 국제사회는 잊고 넘어갔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성유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