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젤렌스키 “우크라 중립국화·돈바스 지위 타협 가능”...외교적 해결 청신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328010015426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2. 03. 28. 06:39

젤렌스키 대통령, 러 언론인들에 "우크라 중립국화·돈바스 지위 타협 가능"
영토 양보 불가능 입장서 후퇴
돈바스 친러 공화국, 러 통합 주민투표 실시에 우크라 반발
"러, 우크라 남북한화 시도"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키예프)에서 동영상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우크라이나 대통령 대변인실 제공 AP=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이 외교적 협상으로 해결될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요구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와 돈바스 지역의 지위에 관해 타협할 수 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돈바스 지역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선언한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이 러시아 연방 가입을 위한 주민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힌 데 대해 우크라이나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협상 타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언론인과의 화상 회견에서 러시아어로 우크라이나는 평화협정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의 안전보장·중립국화·비핵화 상태를 추구하고, 돈바스 지역의 지위에 관해 타협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는 2014년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 등 영토 문제에 대해 양보할 수 없다던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든 합의는 제3국이 보장하고, 국민투표에 부쳐야 한다고 단서를 붙였다. 아울러 러시아가 요구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비무장화에 대해서는 “비무장화를 계속 고집할 경우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함께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선언한 LPR의 러시아 연방 가입을 위한 주민투표 실시가 협상 타결에 난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LPR의 수장인 레오니트 파세치니크는 현지 매체에 “조만간 러시아 연방 가입을 위한 주민투표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러시아가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도 주민투표를 실시해 러시아 연방에 가입했지만 전 세계 대부분 국가는 이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키릴로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체를 장악하지 못하자 러시아가 지배하는 지역을 만들어 우크라이나를 둘로 쪼개려 한다”며 “이는 사실상 우크라이나에 북한과 남한을 만들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인은 곧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벌일 것”이라며 “그러면 러시아인에게 남은 하나의 적절한 시나리오는 생존 방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 25일 발표한 성명에서 작전 1단계 목표가 대부분 달성됐다며 “개별 부대가 임무를 수행, 성공적으로 해결됨에 따라 우리의 병력과 자금은 돈바스의 완전한 해방이라는 주요 사안에 집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양국은 29~30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대면 평화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이 다섯번째인 평화협상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이날 통화해 합의했다고 터키 대통령실이 전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휴전과 인도적 조건 개선을 요구했다고 터키 대통령실이 밝혔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서방측 정상이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10일 터키 남부 휴양지 안탈리아에서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침공 이후 첫 장관급 회담을 개최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