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웃자, 덩달아 미소짓는 한화… 방산·태양광 수혜 기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107010003184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4. 11. 06. 18:00

'美 공화당 싱크탱크' 에드윈 퓰너
김승연·김동관 등과 40년째 인연
親트럼프 인맥 기반 물밑소통 확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당선 소식이 전해지면서 재계에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의 인맥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회장은 미국 공화당 싱크탱크라 할 수 있는 헤리티지 재단 에드윈 퓰너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40년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퓰너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측근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지난 2023년 ㈜한화 사외이사로 선임되면서, 인연이 김동관 ㈜한화 부회장 등 아들들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터운 인맥을 바탕으로 한화그룹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시장을 무대로 펴고 있는 사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측근으로 알려진 에드윈 퓰너 회장과 두터운 친분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당시 김 회장은 이러한 인연을 바탕으로 취임식에 초청을 받기도 했으나, 건강 문제로 불참한 바 있다. 퓰너 회장은 지난 2023년 한화그룹 지주회사 ㈜한화 사외이사로 선임되기도 했다. 이사회 일원으로 주요 경영 의사결정에 참여하면서 김승연 회장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과도 소통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김 회장은 퓰너 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기 전에 만든 환담 자리에도 세 아들과 동석한 바 있다. 특히 김동관 부회장은 미국에서 태양광 사업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고, 방산의 글로벌 수주 확대를 추진할때도 미국의 영향력이 적지 않은 만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 정권에서의 세제 혜택 철회 등 업계에 영향을 미칠 여러 강경한 정책을 공표한 바 있으나, 한화그룹은 이와 같은 인맥 등을 기반으로 물밑 소통을 확대해 나가면서 글로벌 사업을 영위해 나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태양광 부문에서는 IRA 세제 혜택이 감소하더라도 수요가 견조한 만큼 중국에 대한 강력한 견제가 시행되면 오히려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현재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태양광 밸류체인 '솔라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내년부터 본격 가동을 예정한 상황으로, 역내에서 전 밸류체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 정권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도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 것이다.

아울러 방산 계열사 또한 수혜를 전망하고 있다. 당장 한화그룹은 함정 분야에서는 미국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앞서 한화오션·한화시스템은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현지에서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에 진출하기로 한 바 있다. 미국 방산업계 또한 보호주의가 강력한 만큼, 현지에서의 정비 사업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공화당이 국방과 에너지 업계에 대한 지출 확대를 예고한 만큼 방위비가 증가하면서 수출 기회가 늘어날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지정학적 변수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동유럽권 국가들이 무기 자원 수입을 늘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에 K9·천무를 수출하면서 실적이 대폭 상승하기도 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때 중동 지역에서 방위비를 확대할 가능성도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부회장은 앞서 방한한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방위산업 관련 협력을 약속한 바 있다.

한화그룹 외에 트럼프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국내 재계 인사들로는 신동빈 롯데 회장도 꼽힌다. 신 회장은 지난 2019년 국내 재계 총수로는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미국 루이지애나 에탄크래커 공장, 롯데뉴욕팰리스호텔 등 현지 사업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지난 2019년 트럼프 대통령 방한 당시에는 기업 총수들이 대부분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만났다. 당시 삼성, SK, 현대차, CJ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을 지목하면서 대미 투자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대미 투자에 대한 긍정적 입장이 유지된다면 각 기업들이 현재 진행하는 미국 생산공장 설립 등에 대한 수혜적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