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尹대통령 석방하라”… 구속 반발, 헌재로 향한 지지자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20010009948

글자크기

닫기

특별취재팀

승인 : 2025. 01. 19. 17:46

서부지법 앞 1500여 명 도보 시위
"이렇게 혼란스러운 상황 안타까워"
부정선거 의혹 신속 검증 촉구도
[포토]서부지법에서 헌재까지 행진하는 대통령 지지자들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영장이 발부된 19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윤석열을 석방하라"를 외치며 행진하고 있다.
19일 새벽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소식이 전해지자 아수라장으로 변했던 서울 마포구 서부지방법원 앞은 오후 1시부터 다시 혼잡해졌다. 윤 대통령 석방을 요구하는 지지자들이 재차 몰려오면서 '탄핵 무효' '대통령을 석방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기 시작한 것이다.

서부지법 앞으로 시민들이 몰려 들자 경찰은 확성기를 통해 "미신고 시위는 불법으로 처벌될 수 있다"며 즉시 차도를 벗어나 인도로 이동할 것을 경고했다. 시민들은 경찰을 향해 욕설을 퍼부으며 반발했고, 일부 시민들은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심히 과격해지지는 않고 소강상태에 들었다.

전날 새벽부터 현장에 있었다는 김모씨(64)는 "구속영장 발부 소식이 전해지자 시위대가 폭발했다"며 "경찰이 초기에 진입을 막지 못한 점이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말했다. 시민 이모씨(66)도 "나라가 이렇게까지 혼란스러워진 이유를 모르겠다"며 "판사도 제대로 된 판단을 못 내리고 어쩌다 대통령까지 구속되는 상황이 됐는지 안타깝다"고 한탄했다.

윤 대통령의 계엄이 부정선거로 비롯됐다고 주장하는 일부 시민들은 "아직도 부정선거를 모르는 국민이 많다"며 배춧잎 투표지와 화살표 투표지를 비교하는 스티커를 나눠주며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강서구에 사는 김모씨(66)는 "중국인 간첩단 내용이 알려지고 있는데, 부정선거를 밝혀내 대통령이 다시 지위를 회복했으면 좋겠다"면서 "헌재도 못 믿겠고 지금 절체절명의 위기라고 생각한다. 배신자, 스파이, 반국가세력이 껴있어서 대통령이 계엄 내릴만한 사유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이어 "대통령이 허무하게 체포됐다고 본다. 대통령이 국민 생각해서 그런 것인지 몰라도 막으려고 시도는 했었어야 했다. 조금 안쓰럽기까지 하다"며 "묵묵히 꿋꿋이 해나가시는 게 듬직해 (윤 대통령을)지지해 왔다 가짜뉴스 속에서 흔들림이 없으신 것을 보고 지지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찰이 적극 제지하면서 결국 서부지법 앞에 몰린 집회 참가자들은 서부지법을 떠나 헌법재판소 방향으로 행진을 시작했다. 경찰 비공식 추산 1500명이 참석한 이날 행진은 사전 신고가 되어 있지 않아 도로 사용이 불허됐다. 이에 집회 참가자들은 "불법 증거 채택 무효" "4·15 부정선거 검증하라" 등의 피켓을 들고 인도를 따라 이동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마포경찰서를 지나 아현사거리, 충정로 사거리 등을 거쳐 헌재까지 인도 행진을 시작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인도로 이동하는 중에도 "윤석열 대통령을 지켜내자!" "불법 탄핵을 막아야 한다!"는 구호를 외쳤다.

헌재로 이동하는 중에 집회 참가자들은 경찰과 잇따라 충돌했다. 경찰이 불법행위 예방을 위해 채증을 하자 집회 참가자들이 경찰과 마찰이 발생한 것이다. 집회 참가자들은 경찰이 이동 중 행보를 막아서자 '왜 길을 막냐'고 소리치며 "길을 막는 이유가 있어야지 채증을 왜 해. 왜 통행을 막냐"면서 "여기 법이 어디 있냐. 대한민국 법치는 죽었다"고 분노했다.

한 시민은 "우리는 누군가의 지시에 따라 모인 것이 아니라 스스로 대통령을 지키기 위해 이곳에 나온 것"이라며 "각자가 1인 시위를 벌이러 나왔던 것이 모여 규모가 커진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헌법재판소에 도착한 집회 참가자들은 경찰이 헌재 앞에서 출입을 차단하자 또다시 강하게 항의했다. 참가자들은 "안으로 들어가게 해 달라"고 촉구했지만 경찰이 펜스를 설치해 참여자들의 진입을 막아서면서 약간의 소요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별취재팀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