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신선·안전한 ‘로컬푸드’… 지역경제↑탄소배출↓

신선·안전한 ‘로컬푸드’… 지역경제↑탄소배출↓

기사승인 2023. 12. 11.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농식품부, 로컬푸드 정책 지원 확대
직매장 866곳 운영… 도농상생 도와
공공급식 중심 지역먹거리 계획 추진
basic_2022
농림축산식품부의 로컬푸드 정책이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 관심사 탄소배출 감축에도 기여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10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를 모토로 내세운 '로컬푸드 운동'은 1990년대 초 유럽에서 태동했다.

이후 일본의 '지산지소 운동', 미국의 'Know your farmer, Know your food(당신의 농부를 알고, 당신의 음식을 알아라)' 운동 등으로 확산했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면서 탄소 마일리지를 줄이는 데 탁월한 로컬푸드의 중요성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소비자, 생산자, 기후, 환경을 위한 복원력 있는 식품사슬 구축을 제시하는 EU의 주요 농식품 전략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Fork)'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근거리 공급 체인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생산과 소비 체계를 튼튼히 하는 로컬푸드와 일맥상통한다는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농식품부는 2013년부터 로컬푸드 정책을 본격 도입해 지역농산물의 지역 내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로컬푸드 직매장 지원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우선 로컬푸드 직매장은 중소·고령·여성농업인 등 취약 농가의 판로 확보에 큰 힘이 되고 있다. 또한 농가가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해 소득 안정에도 기여하고 있다. 소비자에게는 신선하고 우수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이 결과 2013년 32개소에 불과했던 직매장은 2022년에 866개소로 대폭 증가했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중소농의 판로 확대뿐만 아니라 도농 상생형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직매장에서 소비자가 안전하고 우수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인증농산물 취급 비율 확대 등 내실화에 집중하고 있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농협 등과 협력해 2027년까지 직매장에 GAP, 친환경 등 인증농산물의 취급 비율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며 "농업 비중이 낮은 도시는 장소를 제공하고 인접 농촌은 지역농산물을 공급하는 방식 등 소비지 수요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도농 상생형 직매장을 늘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공급식을 통한 지역농산물 사용 확대도 로컬푸드 확산의 주요 요소다.

이와 관련 공공기관이 급식 등에 지역농산물 사용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공공기관의 지역농산물 구매 실적을 경영평가 지표에 반영하고 있다.

도시 지역의 공공기관에게 인접 농촌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광역형 로컬푸드 공급체계'도 구축 중이다. 이를 통해 2022년 지역농산물 구매 실적 평가에 참여한 공공기관은 166곳이며, 구매금액 17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2020년 대비 60% 증가한 것이다.

로컬푸드가 지역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자체별 특성과 여건에 맞는 지역먹거리계획(푸드플랜)을 수립하는 등 지자체의 노력이 절대적이다.

지역먹거리계획은 공공급식 등을 중심으로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의 지역 내 공급체계를 만들고 이를 통해 생산, 소비, 안전, 영양, 환경, 복지 등 식품과 관련된 지역의 다양한 이슈를 관리하는 지역 농산물 선순환을 위한 종합 전략이다.

지역먹거리계획의 주요 요소는 '로컬푸드의 지역 내 선순환', '공공에 의한 맞춤형 생산·공급',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 보장', '먹거리 관리체계 구축'이다. 농식품부는 지역먹거리계획 추진으로 질 좋은 농식품 보장, 지역경제 활성화, 탄소중립 등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역먹거리계획을 진행했거나 수립 중인 지자체는 2019년 49곳에서 2022년 139곳으로 3년 새 3배 이상 늘었다.

지역먹거리계획의 실천 및 확산 노력을 측정하는 '지역먹거리지수'에서 상위등급(S-A등급)을 받은 지자체 역시 3곳에서 15곳으로 대폭 증가했다,

김종구 정책관은 "지역 내 생산과 소비로 유통 비용이 줄고, 짧아진 푸드마일로 탄소배출과 폐기물을 줄여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컬푸드 직매장·창업 레스토랑, 마을가공 등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내에서 자원이 선순환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