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호주, 의류에 환경 부담금 부과 검토…. 습관적 옷 구매는 환경 파괴

호주, 의류에 환경 부담금 부과 검토…. 습관적 옷 구매는 환경 파괴

기사승인 2024. 02. 22. 14:1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Getty
호주 정부가 환경 개선 부담금 의무화 추진을 준비중이다. 호주인들은 매년 20만 톤 이상의 옷을 버리고 있다./게티이미지
호주 정부가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의류 산업에 대한 강력한 개입을 준비 중이다. 호주 에이비시(ABC) 방송은 21일(현지시간) 호주 정부가 더 이상 입지 않는 의류의 재활용과 재사용 노력을 개선하기 위해 업계 자율에 맡겨 두었던 환경 개선 부담금을 의무화할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호주 패션 협의회에 따르면 호주인들은 매년 평균 56벌의 의류를 구매하고, 20만 톤 이상의 버려진 옷을 매립지로 보내고 있다. 특히 빠르게 변하는 유행에 따라 값싸고 대량 생산되는 패스트 패션이 유행하면서 필요 없는 옷 구매가 늘어난 것도 크게 작용했다. 세계은행 역시 온라인 쇼핑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의류 판매가 최대 65%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류 산업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오염이 심한 산업으로 전 세계 오염 배출량의 4~8%를 차지한다. 화학섬유를 만들기 위해 매년 3억 4200만 배럴의 기름이 필요하고, 염색하는 과정에서는 4300만 톤의 화학물질이 배출된다. 엄청난 양의 물도 사용한다. 티셔츠 한 장에 2700리터, 청바지 한 벌에는 1만 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의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0%를 책임지고 있으며, 이는 국제선 항공편과 해상 운송을 합친 것보다 많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주 정부는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와 판매자에게 환경 보호 부담금을 내도록 강제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의류 재활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디자인 최소 기준을 만들고, 그동안 일부 업체가 자발적으로 걷어온 환경 부담금을 모든 업체에 의무적으로 내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환경 부담금은 작년 6월 호주 패션협회가 설립한 심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조성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2030년까지 패션 업계가 순환 경제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회원사는 제작 또는 수입하는 모든 의류에 대해 한화 약 30원의 기부금을 납부한다. 정부는 이 프로그램 참여를 의무화시키면 연간 약 500억 원의 기금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를 통해 2027년까지 매립되는 의류의 60퍼센트를 재활용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제안했다.

타냐 플리버섹 환경부 장관 역시 의류 산업이 패스트 패션에 등을 돌려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녀는 자신도 문제의 일부라고 인정하고, "패션 업계가 이윤을 창출하는 산업이라면 환경을 개선하는 데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고 의류 매매가 신규 매출의 10% 이상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지적하고, 다른 방법을 통해 의류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옷 빌려 입기와 옷 적게 사기가 대표적이다. 이미 전 세계 의류 임대 시장은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고, 1년에 신규 의류를 최대 8개까지만 사는 것으로도 세계 주요 도시에서 패션 관련 탄소 배출량을 37%까지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