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동훈, 침묵 깨고 현안 언급… 당권 등판 몸풀기?

한동훈, 침묵 깨고 현안 언급… 당권 등판 몸풀기?

기사승인 2024. 05. 19. 17: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SNS에 "개인 해외직구 규제는 과도"
당내선 "민생에 관심 기울인단 시그널"
총선백서 논란, 전대 출마 명분 시각도
사퇴 한동훈-35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제22대 총선 관련 입장발표를 하고 있다.   /이병화 기자 photolbh@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사진>이 정부 정책에 공개 메시지를 내자 정치적 몸풀기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민생·생활 경제 정책에 입을 열었다는 데 향후 정치 행보를 엿볼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전 위원장은 전날(18일) 페이스북에 정부의 개인 해외직구 KC인증 의무화 규제와 관련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지나치게 제한하므로 재고돼야 한다"며 "적용 범위와 방식이 모호하고 지나치게 넓어져 과도한 규제가 될 것"이라고 남겼다.

이어 "해외직구는 이미 연간 6조7000억원을 넘을 정도로 국민들이 애용하고 있고, 저도 가끔 해외직구를 한다"며 "국내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제품 안전을 꼼꼼히 챙기는 것은 정부의 당연한 책무지만 5·16 발표처럼 개인의 해외직구 시 KC 인증을 의무화하면 과도한 규제가 될 수 있다"고 썼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고 공정한 경쟁과 선택권을 보장하는 정부"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 초대 국무위원으로 정권 초반 강조했던 '규제 혁파'를 상기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친한계 인사는 본지와 통화에서 "비윤, 반윤의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건 맞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지켜보면 어떨까 싶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당내에선 한 전 위원장의 메시지를 대체로 '정치적 몸풀기'로 보면서도 민생·경제정책 분야에 의견을 낸 점을 주목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개인 해외직구 KC인증 의무화 규제는 20~50대 직구를 즐겨 찾는 이들에게 피부에 닿는 민생, 경제 이슈여서다.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의 신호탄인지는 모르겠지만, 몸을 풀고 있는 건 확실한 것 같다"며 "본인이 다시 정치에 복귀한다면 민생 관련 생활정치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겠다는 시그널을 보내는 게 아닌가 싶다"고 내다봤다.

한 전 위원장이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밝힌 적 없지만, 홍준표 대구시장의 날 선 비판과 '총선 백서' 논쟁이 맞물리며 오히려 길을 열어줬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을 향해 '폐세자', '사냥개' 등 과한 비판을 쏟아내자 동정 여론이 생겼고 총선백서 특위에서 한 전 위원장 책임으로 몰아가는 듯한 설문 문항으로 공정성 논란을 빚은 탓이다. 전날 광주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비공개 워크숍에서도 "백서의 공신력이 오염됐다", "특정인을 겨냥하며 오히려 당내 분열을 키우고 있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