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환자들 “너무 이기적, 안내문 찢어버리고 싶어”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환자들 “너무 이기적, 안내문 찢어버리고 싶어”

기사승인 2024. 06. 17. 19: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7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 무기한 휴진 개시
KakaoTalk_20240617_100342951_04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가운데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모녀가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반영윤 기자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갑상선센터 앞에서 '무기한 휴진' 게시물을 읽던 이모씨(48)는 "너무 이기적인 것 같아 찢어버리고 싶다"며 분노했다. 췌장암 환자의 보호자 이씨는 "화가 난다. 언제까지 기다리라고 하는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이날, 비대위가 휴진을 예고하면서 외래 휴진·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를 조치해놓은 터라 매일 9000여 명이 찾던 외래 환자들의 발길은 뚝 끊긴 상태였다. 다만 중증 등 일부 환자들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도 했다.

"엄마 오늘 왜 이렇게 사람이 없어?" "병원 파업해서 그래. 우리는 다행히 의사 선생님을 만나게 됐는데 다른 사람은 그렇지 못해서 지금 병원에 이렇게 사람이 없는 거야."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에서 나누는 모녀의 대화는 의사 파업으로 인해 고통받는 환자들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다.

환자들은 의사들을 향해 날선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박모씨(77)는 "의사라는 사람들이 인명을 우습게 알고 파업을 쉽게 생각한다"며 "환자는 의사가 정해주는 대로 올 수 밖에 없으니 다음 예약을 간절히 기도하는 방법 뿐이다"라고 탄식했다.

서울대병원의 이날 일부 진료 축소로 우려했던 것 만큼 큰 혼란은 없었지만 환자들의 공포는 극에 달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이번 휴진에는 필수·응급 등을 제외한 진료과목에서 529명의 교수들이 참여하기로 했다. 이는 전체 교수(1475명)의 35.9%에 해당한다. 이 사태가 장기화 할 경우 실제 진료 감소는 40% 정도이고, 수술실 가동률은 33.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무기한 휴진을 '불법 진료 거부'로 규정하고 휴진에 참여한 서울의대 교수 등에 대한 의료법 위반과 병원 내부 징계 및 행정처분 등의 검토에 들어갔다. 아울러 18일 전면 휴진과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예고한 대한의사협회 집행부에 대해서도 집단행동 금지 명령을 내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