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광복 70년 창간 10주년, 공공성의 재인식서 재출발

광복 70년 창간 10주년, 공공성의 재인식서 재출발

기사승인 2015. 01. 05. 13: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송인준 회장 신년사] 지난 10년 성찰, 향후 10년 공공성 확대 심화 한단계 업그레이드
송인준_2606
송인준 아시아투데이 회장/사진=조준원 기자
2015년 새해를 맞아 국민과 독자 여러분과 가정에 큰 축복이 함께 하길 기원합니다.

올해는 광복 70년이면서 아시아투데이가 창간 10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신생 언론사 아시아투데이에 이 10년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숨 가쁘고 묵직했던 67년사에 비견될만합니다.

아시아투데이가 2015년 신년호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세계경영’을 제시했습니다. 1945년 광복을 맞아 그 3년 후에 건국하고, 1960년대 초까지 나라의 기초를 다지면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이제 선진화를 구현하기 위한 어젠다로 ‘세계경영’이라는 화두를 우리 사회에 던진 셈입니다.

아시아투데이는 2005년 11월 11일 인터넷신문으로 출발해 2년 후 종이신문을 발간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모바일 넘버원’을 선언하면서 모바일 웹과 앱을 더했고,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과 모바일 검색이 가능해지면서 온·오프·모바일 등 다방면에서 독자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명실공히 종합일간지로서의 위상을 높여가고 있는 중입니다.

이처럼 괄목할만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이끌어주신 국민과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면서 새로운 각오를 다지고자 합니다. 신문창간 10주년인 또 하나의 전환점에서 우리의 각오는 ‘정도언론(正道言論)’의 의미를 진지하게 되새겨 보는 것에서 부터 다시 출발하고자 합니다.

언론은 사회적 공기입니다. 국민의 충실한 눈과 귀와 입이 되어야 합니다. 이런 수단을 통해 신속 정확한 보도, 올바른 여론형성, 정책결정의 길잡이, 국민계도, 국정감시 비판 등의 역할을 제대로 해야 합니다. 이러한 소명은 치열한 현장정신으로 무장하면서도 항상 겸손한 자신감(Humble Confidence)의 자세를 견지해야 가능하다는 것을 직시하고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는 뜨거운 사회적 관심사에 대하여 과열된 취재·보도경쟁으로 막연한 추측보도, 편파·왜곡 보도를 하지는 않았는지,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나 지나치게‘황색 저널리즘’의 유혹에 빠지지 않았는지 돌이켜보고 있습니다.

현재 3000여개의 언론 매체들이 이윤추구에 급급한 나머지 상업주의적인 취재·보도경쟁으로 우리 사회에 잘못된 여론형성을 부추기고 있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무릇 결코 언론과 여론은 동일어가 아닙니다. 단순히 여론을 대변하거나 뒤쫓아 가는 것이 진정한 언론일 수는 없습니다.

종합일간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블로깅 또는 댓글행위 등과 차별화된 차원 높은 공공성과 공익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 엄중한 자각을 잊는 순간 언론은 사익을 추구하는 일개 정보업자로 전락하고 말 것입니다.

기자가 취재원을 만나 당당히 질문할 수 있는 ‘무거운 특권’은 ‘국민의 알 권리’라는 헌법적 가치를 수행하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국민의 알권리는 국민이 왜곡 과장된 사실과 접하는 권리가 아니라 감춰지기 쉬운 ‘진실’과 만나는 권리입니다. 진실한 사실이 무엇인지를 널리 알려 국민과 역사 앞에 바로서는 것입니다.

이처럼 언론이 국민의 알권리를 구실삼아 무책임한 권능을 행사한다면 이는 만용이며, 절제되지 않은 언론은 개인과 사회의 엄청난 위해를 가하는 횡포일 수 있음을 유념하고 있습니다.

언론자유는 헌법 제21조 4항에서 보장된 본질적 자유입니다. 그러나 언론자유는 무조건적 절대적으로 보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언론으로 타인의 권익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해도 무방한 것은 아닙니다.

국가 사회나 국민에게 중대한 해악을 끼쳐서는 안 되는 한계가 있음을 자유주의 사상가로 헌법의 이념적 기초를 제시한 밀(J.S. Mill)은 해악의 원리(The Harm Principle)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가 경험한 세월호 참사와 유병언 사망사건, 김정은 중병설, 최근의 청와대 문건 파문 등의 취재보도와 관련해 보아도 과연 언론매체들이 그 막중한 영향력에 걸맞은 의무와 책임을 다하였는지 쉽사리 수긍이 가지 않은 점이 없지 않습니다.

사태를 조율하고 해결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다했다기보다 부질없는 의혹과 불신을 조장하고 그로인하여 유언비어의 난무, 사회 혼돈과 혼란을 부추긴 점은 없었는지 깊이 성찰하고 있습니다.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 조지 켈링은 ‘깨진 유리창 이론(The Broken Windows Theory’에서 적절히 경고한바 있습니다. 남의 건물 유리창에 언론이 성급하고 무책임하게 돌멩이를 던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언론이 던지면 대중들은 별 생각없이 따라 던져 순식간에 건물 유리창들을 파손하여 볼썽사나운 건물로 변하게 됩니다.

더구나 오늘의 열린 시민사회는 대중의 사회참여가 확산되고, 특히 SNS의 발달로 네티즌 등이 주도하는 부실하고 부정확한 여론형성으로 인하여 사회혼란의 우려가 농후합니다. 여기에 제도권 언론이 분별없이 영합한다면 혼돈을 가중시키는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시청률 경쟁으로 본질적인 가치가 망각되고 소외되는 상업방송의 현실, ‘제목 장사’로 풍자되는 선정적인 제목과 내용의 기사들로 독자들의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언론 현실에서 아시아투데이도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창간 10주년의 새해를 ‘정도언론’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은 이러한 배경 때문입니다. 언론은 사회적 공기라는 바로 공공성의 재인식입니다.

공공성은 대한민국이 지난 70년 피와 땀과 눈물로 일궈낸 귀중한 성과물입니다. 독립-건국-산업화-민주화라는 세계사에 드문 기적의 주역 대한민국이 진정한 선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한층 제고되어야 할, ‘국가의 품격’의 척도가 공공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시아투데이가 헌신해야 할 향후 방향이자 존재의미이기도 합니다. 공공성은 사회 구성원 각자의 이해관계와 모든 주의, 주장과 사고와 개성 그리고 다양성을 조화롭게 아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동의 이익이 합의되고 도출되는 장이기도 합니다.

‘불편부당(不偏不黨)’이야말로 그것을 위한 방법이자 중도실용주의의 다른 표현이기도 합니다. 공공성이 가진 또 다른 본질은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에게 모든 정보와 기회가 열려있으며 차별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아시아투데이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굳게 닫힌 정보’의 문을 여는 행위, 국부의 증진을 지지하는 동시에 소상공인·다문화가정·장애우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는 것 역시 공공성을 구현하고 공익을 모색하는 노력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공성을 구현하고 공익을 모색하는 노력은 아시아투데이가 종합일간지로서 지금껏 추구해왔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견지해야 하는 가치입니다.

향후 아시아투데이 10년은 우리 사회의 공공성을 확대하고 심화하는 언론으로의 존재감을 키우는 10년이 될 것입니다. 창간 10주년 새해를 시작하는 오늘 다시 한번 초심을 다지면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아시아투데이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국민과 독자 여러분의 관심을 당부드립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1월 5일 아시아투데이 회장 송인준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