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3일 내 유통돼 신선함…푸드마일리지 짧은 국산 우유

3일 내 유통돼 신선함…푸드마일리지 짧은 국산 우유

기사승인 2024. 06. 25. 15:0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우유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환경의 날'이 있는 6월을 맞아 소비자들 사이에서 환경을 고려한 소비·생활 습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생산지에서부터 우리 식탁에 오기까지의 이동거리를 의미하는 푸드마일리지가 전 세계적으로 떠오르는 소비트렌드이다.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푸드마일리지가 장보기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의 농·축·수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5%, 수입량은 1.7% 증가했다. 

수입 식자재의 경우,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운송 기간이 국내 식자재가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 거리보다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음식 재료를 생산하고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담 정도를 지표로 나타낸 것이 푸드마일리지이며, 운송 거리가 멀수록 탄소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환경 부담이 커진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푸드마일리지는 프랑스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인다. 푸드마일리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제철에 소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냉장고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보다 소량으로 구매하고 신선한 상태에서 바로 소비해 냉장 보관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여야 한다.

푸드마일리지가 짧은 대표적인 식품은 국산 우유다. 우리가 평소에 소비하는 우유는 살균우유로 보통 유통기한이 11~14일 정도로 짧아 신선식품에 해당하며 냉장 보관이 필수적이다. 국산 우유는 착유 후 적정 온도로 즉시 냉각시키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신선한 원유 그대로 살균과 균질화 처리를 거쳐 2~3일 내 유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세균 수는 15일마다, 체세포 수는 7일마다 등급 검사가 각각 진행되며 국산 원유는 엄격한 품질 검사에 통과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 세균질병과가 발표한 2023년 집유·원유검사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젖소 원유의 세균 수 1등급 비율은 전년 대비 0.05%포인트 증가했으며,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은 4.25%포인트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집유 된 원유의 위생 등급을 보면 세균 수 1등급 비율은 99.59%,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은 69.13%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원유의 세균 수와 체세포 수 등급을 비교 분석한 결과, 1등급 원유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해마다 고품질 원유가 더 많이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세균 수 1A 등급 비율은 2022년에 94.01%였고, 2023년에는 94.07%로 증가했다. 체세포 수 1등급 비율도 2022년에 64.89%였던 것이 2023년에는 69.13%로 향상됐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